128호에 이어
수말(colt)
콜트(colt)는 4살이하의 수망아지를 의미하는데 항상 이렇게 좁은 의미로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콜트라는 단어는 17세기의 구약성서의 해설에서 발견되는데 거기에는 ‘수망아지를 가진 30두의 낙타’(Thirty camels with their colts)라는 언급이었다. 또 다른 성경 내용중에는 ‘Colt’를 ‘나귀 자마’(the foal of an ass)라고 언급했다. 확실히 콜트라는 용어는 특별히 어린 수망아지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훨씬 일반적인 종류의 어린 동물을 의미한 것이었다. 또한 이것은 처음에는 양성(암·수)모두에 적용되었으며 암말은 ‘female colt’로도 사용하였다. 그러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이것은 점점 더 젊은 수말로 한정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젊은 수말’의 뜻으로만 사용된다.
거세마(Gelding)
콜트(Colt)가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면 활동적인 스텔리언이 되거나 거세되어 겔딩(거세마 : Gelding)이 되었다. 겔드(Geld)라는 용어는 ‘불임’(barren)을 의미하는 옛 스칸디나비안 단어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겔딩’(Gelding)은 임신시키지 못하는 말을 의미한다.
야생마(Bronco)
서부영화에서 우리는 종종 카우보이가 ‘벅킹’(bucking : 등에 탄 사람을 떨어뜨리려고 뛰어오르는) 브랑코(bronco)라고 말하는 광경을 본다. 이것은 멕시코의 영향을 받은 듯이 보인다. 브랑코(bronco)는 ‘매우 거친 것’을 의미하는 옛 스페인의 단어에서 유래하였다. 따라서 브랑코는 원래 다루기 힘든 순치되지 않은 말을 의미한다.
노역마(Hack)
노역용이나 단순한 승용마를 지칭하는 이 말은 프랑스어에서 유래하였다. 프랑스어인 ‘해키니’(Haquenee)는 측대보로 걷는 말을 의미하며 주로 여성들이 사용하였다.
이런 형태의 동물은 종종 마차를 끄는데 사용되었으며 과도한 노역에 동원되었다. 이에 따라‘진부한 문구’(hackneyed phrase), ‘진부한 작가’(hack writer)등의 용어로 오늘날에 등장한다.
통상적으로 ‘hack’은 사냥, 전쟁 혹은 다른 전문적인 활동에는 적합치 않은 보통 수준의 말을 의미한다.
더러브렛(Thoroughbred)
이것은 오늘날 General Stud Book에 아비들과 어미들의 이름이 있는 혈통(pedigree)을 가진 말에 대해 사용한다. 원래는 혈통이 있는 말은 단순히 개량마(bred-horse)로 알려져 있었으며 젊은 수탉의 꼬리 형태와 비슷한 꼬리 잘린(cocktail : cock-tailed horse의 축약형) 잡종말과 반대되는 종류의 말을 의미했다.
사냥용이나 마차를 끄는 말은 보통 이러한 방법으로꼬리가 잘려 나갔으며 당시에는 혈통을 유지한 말이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cocktail’과 ‘non-Thoroughbred’에는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 옛날의 말 용어인 ‘cocktail’이 현대의 ‘믹스된 술(cocktail)’로 의미가 변경되었다.
잡종마(cock-tailed horse)가 다양한 혈통(mixed parentage)을 가졌듯이 마실 술도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였다하여‘칵테일(cocktail)’이라 부른다.
그러므로 오늘날 ‘칵테일(cocktail)’을 마실 때는 꼬리 잘린 잡종말(mongrel horse)에게 조용한 경의를 표해야 한다.
작 성 자 : 박일웅 jso0106@krj.co.kr
SPONS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