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산업 성과 제고로 농산업 패러다임 전환한다

창업 640개소, 농촌관광객 1,100만 명 유치 달성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 이하 농축산부)는 지난 4년간 핵심 과제로 추진한 ‘농업의 6차산업화’를 심층 점검해 문제점은 개선하고 성과는 더욱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재수 장관이 취임사에서 “핵심 정책은 성과를 재점검하고 현장의 문제점을 보완해 농업인과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겠다”고 밝힌 바, 가공·유통·관광·마케팅·규제 등 분야별 전문가 26명이 참여해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간 자료 분석,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성과, 제도, 지원 체계 등 6차산업화 정책 전반에 대해 점검했다.

그 결과 생산·컨설팅·자금·판로 등 맞춤형 창업 보육 지원, 성공사례 발굴 및 홍보를 통해 6차산업 인지도와 열기가 확산, 시장규모, 창업자 및 인증사업자 수, 관련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10개소의 6차산업지원센터·69개소의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설치 등 지원 체계를 바탕으로 1,785개소의 창업이 이뤄졌으며 창업자 중 59.2%가 6차산업 인증 기준인 매출액 3,500만 원을 충족하는 등 내실 있게 성장하고 있으며, 2,856명의 관련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농촌관광 분야는 ‘으뜸촌 기차여행’ 등 특색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확충해 2016년 농촌관광객은 1천만 명, 외국인 관광객은 16만4천 명을 달성했다. 아울러 농업진흥지역, 그린벨트 등에서의 입지규제 완화, 소규모 경영체에 대한 시설기준 완화, 지구단위 특례적용 등 획기적인 규제 개선으로 연간 1,546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진흥지역 변경·해제로 연간 245억 원, 2천㎡ 이하 가공·유통시설의 진입도로 확보 의무 면제로 연간 1,001억 원 등 편익도 발생했으나 영세 경영체가 많고 창업 3~4년차에 매출이 정체되고 있으며, 지역 단위 6차산업 주체간 조직화가 미흡하다는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농촌체험휴양마을 중심의 농촌관광 제도도 다양한 관광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워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농축산부는 지역 기반의 6차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내실 있는 성장을 견인하고, 농촌관광은 도시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역 단위 6차산업화를 위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다양한 관광자원을 연계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 등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체험, 경관 외 치유, 레저,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공급자를 육성해 도시민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농진청·산림청·농협 등 6차산업 유관기관과 협업을 강화하고 주기적인 현장 간담회 등을 통해 상시적 규제 발굴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원 체계도 정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재욱 농촌정책국장은 “공급 과잉의 시대에 안정적인 농외소득원 개발은 농가소득 제고와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6차산업이 중요한 수단”이라며, “6차산업의 성과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14년 6차산업화 지구로 선정한 영동 포도와인 지구는 와인 제조업체들을 연결하는 와인탐방로드를 조성하고, 와인카페·판매장 운영 등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사진 제공= 농축산부).

이용준 기자 cromlee21@krj.co.kr
-Copyrights ⓒ말산업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용준 cromlee21@krj.co.kr